분류 전체보기 11

음운론) 말소리 바뀜: 음운 변동의 뜻과 종류 (1)-교체

모든 말소리는 소릿값을 갖고 있으나 환경에 따라 다른 소리로 모습을 바꾸기도 하고 완전히 다른 소리로 바뀔 수도 있다. 보통 통시적인 말소리 바뀜을 음운의 '변화', 공시적인 현상은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공시적 현상인 음운의 변동도 '이음변동'(한 음소가 자신이 가진 여러 변이음 중 하나로 실현되는 현상), '음운 변동'(하나의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어 실현되는 현상으로 나뉜다. 이음변동: 바다[pata]-> 바다[pada] -무성파열음 t가 유성 파열음 d로 바뀜 음운변동: 국민[kukmin]->궁민 음운변동을 분류하는 기준 ㄱ) 자음관련변동, 모음관련변동, 운소관련변동 ㄴ) 교체, 탈락(음소 삭제), 첨가, 축약(두 개의 소리가 하나로 줄어듬), 전위(말소리가 놓이는 순서가 바뀜) ㄷ) 동화..

대학원 준비 2021.10.07

형태론) 수식언-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 체언 앞에 쓰여 체언을 꾸며주는 품사: 피수식 체언의 바로 앞에 쓰임 관형사의 종류: 1. 성상관형사: 새, 헌, 과학적, 합리적, 옛 2. 수관형사: 한, 두, 여러, 모든, 몇 3. 지시관형사: 이, 그, 무슨, 웬, 이런, 다른 관형사의 겹침: 지시-수-성상: 이 두 새 책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품사 용언 외에도 체언, 관형사, 부사, 문장 등 다양한 대상을 꾸미며, 구나 문장을 이어주기도 한다. 부사의 종류: 1.성분부사: 특정한 문장성분을 꾸미는 2.문장부사: 문장 전체를 꾸미는 3.접속부사: 단어나 문장을 이어주는 1.성분부사 中 성질이나 상태를 한정하는 성상부사/ 방향이나 시간, 앞에 나온 내용을 가리키는 지시부사/ 부정의 뜻으로 용언을 꾸며 부정문을 만드는 부정부사 -성상부사: 동사..

카테고리 없음 2021.10.06

형태론) 용언의 활용

용언은 의존형태이므로 문장에 쓰일 때에는 반드시 어미가 결합해야 한다. 종결형, 연결형, 전성형 종결형: 문장을 끝맺는 활용형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연결형: 뒤에 오는 문장과 이어주는 활용형 1.대등적 연결형: 철수는 도서관에 가고 소연이는 집에 갔다. 2.종속적연결형: 비가 와서 길이 질다. 3.보조적 연결형: 비가 오지 않는다. 전성형: 용언이 이끄는 문장을 다른 품사가 갖는 자격도 갖도록 만들어주는 활용형 1. 명사형: 우리는 그가 아직 오지 않았음을 알았다. 2. 관형사형: 그는 어제 도서관에서 빌린 책을 읽는다. 3. 부사형: 그의 얼굴이 몹시 험상궂게 생겼다.

카테고리 없음 2021.10.05

형태론) 용언(동사, 형용사/ 본용언, 보조용언)

주어의 행위, 상태나 성질을 서술하는 문장성분, 서술어 용언은 문장에 쓰일 때 어미가 결합-> 활용 의미에 따라 동사vs 형용사 동사: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 자동사(주어의 움직임만을 나타내는)vs 타동사(목적어에도 주어의 움직임이 영향을 주는) 학교에 가다vs 연못에 돌을 던지다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성상형용사) 성질이나 상태를 직접 나타내지 않고 지시하는 것(지시형용사)-그러하다. 어떻다... 동사vs 형용사 구별 1. 현제시제 문장 종결어미'-다. -구나' 결합 동사는 불가능: 먹(는)구나, 먹(는)다-> 선어말어미 -는-이 선행해야 함 형용사는 가능: 날씨가 좋다. 좋구나. 2. 현제시제로 쓰일 때 뒤에 있는 체언을 꾸밀 때 동사: 관형사형 어미 -는-이 결합: 사..

대학원 준비 2021.10.05

국어교육학) 읽기 교수학습의 중요성과 특성, 방법

읽기 교수학습의 중요성 문자언어에 해당하는 읽기와 쓰기 학습은 학교교육과 함께 시작한다. 1. 모든 교과의 도구 : 읽기는 교과 학습의 도구이므로 읽기 능력을 갖춰야 한다. 많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교재로 구현되어야 하고, 그 교재를 능숙하게 읽을 줄 알아야 한다. 2. 읽기는 삶의 도구: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도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데 그것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관공서의 안내, 사회 규약, 신문 등 텍스트로 제공되는 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하다. 3. 자아의 성장과 가치관 확립: 독자는 책이나 글을 읽으며 영향을 받는다. 정보의 해석을 넘어 문학을 향유하며 다양한 간접경험 기회를 갖고 좋은 책에 등장하는 좋은 사람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자신의 자아를 확..

카테고리 없음 2021.10.01

어휘론) 유의 관계: 위상적 유의어, 방언적 유의어, 문체적 유의어, 차용적 유의어

유의관계: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지니는 의미들이 상호 동질 관계에 놓일 때 위상적 유의어 서로 다른 사회계층이나 특정 부류에서 사용되며 유의 관계를 유지함 동일한 병명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맹장염-> 전문적으로는 충수염, 충양돌기염 등으로 쓰임 방언적 유의어 서로 다른 방언권에 속하며 유의관계를 유지함 표준어 '싸리문'과 방언 '삽짝'-> [지역성]에서만 의미 차이를 보이므로 유의 관계를 논할 때 보통 제외함 문체적 유의어 문체적 양상(표현 격식성, 표현의 의미 가치, 표현의 언어적 성격)을 달리하지만 유의관계를 유지함 술(비격식)&약주(격식)/ 불구자(중립적 의미)&병신(부정적 의미)/ 죽다(구어체)&영면하다, 서거하다(문어체) 차용적 유의어 외래 요소가 새롭게 가세함으로써 유의관계를 이룸 가을걷이&추수/..

대학원 준비 2021.09.30

어휘론) 단어형성법 中 혼성어 개념과 유형 분석, 특성 설명

혼성어란? 두 개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혼합된 뜻을 가지게 된 낱말을 말한다. 예로 스모그(smog; smoke+fog), 위키백과(위키+백과사전), 사이보그(cyborg; cybernetic+organism), 호캉스(호텔+바캉스), 유지어터, 크로플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혼성은 두 단어에서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을 잘라내고 남은 부분들을 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과정이다. 절단과 합성이라는 두 가지 기제가 관여한다는 점에서 합성어와 구별된다. * 혼성어 vs 절단형 단일어 (혼성어는 이미 있는 단어로부터 새 단어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단순 절단 현상과는 구별된다) 이미 있는 단어 안에서 일어나는 절단현상 국어 외래어 中 내비, 슈퍼, 멜로... 두음절어 전대협, ..

대학원 준비 20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