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학 4

국어교육학) 읽기 교수학습의 중요성과 특성, 방법

읽기 교수학습의 중요성 문자언어에 해당하는 읽기와 쓰기 학습은 학교교육과 함께 시작한다. 1. 모든 교과의 도구 : 읽기는 교과 학습의 도구이므로 읽기 능력을 갖춰야 한다. 많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교재로 구현되어야 하고, 그 교재를 능숙하게 읽을 줄 알아야 한다. 2. 읽기는 삶의 도구: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도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데 그것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관공서의 안내, 사회 규약, 신문 등 텍스트로 제공되는 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하다. 3. 자아의 성장과 가치관 확립: 독자는 책이나 글을 읽으며 영향을 받는다. 정보의 해석을 넘어 문학을 향유하며 다양한 간접경험 기회를 갖고 좋은 책에 등장하는 좋은 사람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자신의 자아를 확..

카테고리 없음 2021.10.01

어휘론) 어휘 의미 변화의 결과

특정 단어가 의미 변화를 겪고 나면 의미 적용 범위가 변하거나 의미 가치가 변한다. 1. 범위의 변화 (축소 & 확대) 축소: 지시 범주나 사회적 유효 범위는 좁아지지만 부가적 특징이 첨가됨으로써 의미는 풍부해진다. ex)얼굴: 형체-> 안면 아버지-> 기독교 특수 사회에서 천주의 의미로 확대: 의미가 다양한 사물에 적용되며 외연은 증가하나 내포는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ex)아주머니: 고모-> 중년 여인 겨례: 친척-> 민족 2. 가치의 변화 (경멸 & 개량 & 중립적 방향) 경멸적 의미 변화: ex) 특수 사회에서 유지하는 고유한 가치가 일반성을 띠면서 희박해지거나 낮아지는 것: 선생님, 사모님, 양반, 영감, 외도하다/ 특정 단어가 어휘 형성에 참여하거나 접사기능을 할 때 파생어에 부정적인 의미를 심..

대학원 준비 2021.09.30

어휘론)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어휘의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1. 역사적 원인 2. 언어적 원인 3. 사회적 원인 4. 심리적 원인 1. 역사적 원인 시대에 따라 변하는 문물, 과학, 제도, 풍속 등에 따라 표현하는 명칭이 의미하는 바가 변한다. 지시물의 변화는 지시물 자체의 변화, 지시물에 대한 감정적 태도의 변화, 지시물에 대한 지식의 변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지시물 자체의 변화 ex)'돈', '차', '배' 등의 의미가 이전 시기와 다르게 인식되는 이유는 이들이 지시하는 지시물 자체가 변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기생'은 문과 예를 갖춘 예능인이었으나 지시물의 본성이 바뀌어 현재의 '기생'은 그저 '몸과 웃음을 파는 막된 여자'라는 부정적 의미로 이해된다. -지시물에 따른 감정적(주관적) 태도의 변화 지시물을 보는..

대학원 준비 2021.09.30

국어교육학)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최근 기출문제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점 내용 & 한 학기 한 권 읽기 특징과 지도 시 고려할 점 매체문학교육의 의의& 제재 선정의 기준을 제시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그림책 한 권을 예로 들어 글과 그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림책의 특성을 기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특징 6가지 1.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체제 변화 2. 내용 체계표의 상세화 3. 국어 교과 역량 강조 4. 유치원 누리과정과의 연계와 한글 교육 강화 5. 한 학기 한 권 읽기 강조 6. 체험중심의 연극교육 1.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성격'항 신설 성격: 국어과는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기르고 국어 발전과 국..

대학원 준비 2021.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