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4

형태론) 수식언-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 체언 앞에 쓰여 체언을 꾸며주는 품사: 피수식 체언의 바로 앞에 쓰임 관형사의 종류: 1. 성상관형사: 새, 헌, 과학적, 합리적, 옛 2. 수관형사: 한, 두, 여러, 모든, 몇 3. 지시관형사: 이, 그, 무슨, 웬, 이런, 다른 관형사의 겹침: 지시-수-성상: 이 두 새 책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품사 용언 외에도 체언, 관형사, 부사, 문장 등 다양한 대상을 꾸미며, 구나 문장을 이어주기도 한다. 부사의 종류: 1.성분부사: 특정한 문장성분을 꾸미는 2.문장부사: 문장 전체를 꾸미는 3.접속부사: 단어나 문장을 이어주는 1.성분부사 中 성질이나 상태를 한정하는 성상부사/ 방향이나 시간, 앞에 나온 내용을 가리키는 지시부사/ 부정의 뜻으로 용언을 꾸며 부정문을 만드는 부정부사 -성상부사: 동사..

카테고리 없음 2021.10.06

어휘론) 유의 관계: 위상적 유의어, 방언적 유의어, 문체적 유의어, 차용적 유의어

유의관계: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지니는 의미들이 상호 동질 관계에 놓일 때 위상적 유의어 서로 다른 사회계층이나 특정 부류에서 사용되며 유의 관계를 유지함 동일한 병명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맹장염-> 전문적으로는 충수염, 충양돌기염 등으로 쓰임 방언적 유의어 서로 다른 방언권에 속하며 유의관계를 유지함 표준어 '싸리문'과 방언 '삽짝'-> [지역성]에서만 의미 차이를 보이므로 유의 관계를 논할 때 보통 제외함 문체적 유의어 문체적 양상(표현 격식성, 표현의 의미 가치, 표현의 언어적 성격)을 달리하지만 유의관계를 유지함 술(비격식)&약주(격식)/ 불구자(중립적 의미)&병신(부정적 의미)/ 죽다(구어체)&영면하다, 서거하다(문어체) 차용적 유의어 외래 요소가 새롭게 가세함으로써 유의관계를 이룸 가을걷이&추수/..

대학원 준비 2021.09.30

어휘론)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어휘의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1. 역사적 원인 2. 언어적 원인 3. 사회적 원인 4. 심리적 원인 1. 역사적 원인 시대에 따라 변하는 문물, 과학, 제도, 풍속 등에 따라 표현하는 명칭이 의미하는 바가 변한다. 지시물의 변화는 지시물 자체의 변화, 지시물에 대한 감정적 태도의 변화, 지시물에 대한 지식의 변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지시물 자체의 변화 ex)'돈', '차', '배' 등의 의미가 이전 시기와 다르게 인식되는 이유는 이들이 지시하는 지시물 자체가 변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기생'은 문과 예를 갖춘 예능인이었으나 지시물의 본성이 바뀌어 현재의 '기생'은 그저 '몸과 웃음을 파는 막된 여자'라는 부정적 의미로 이해된다. -지시물에 따른 감정적(주관적) 태도의 변화 지시물을 보는..

대학원 준비 20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