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준비

어휘론)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미스서른 2021. 9. 30. 13:38

어휘의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1. 역사적 원인
2. 언어적 원인
3. 사회적 원인
4. 심리적 원인

 

1. 역사적 원인

시대에 따라 변하는 문물, 과학, 제도, 풍속 등에 따라 표현하는 명칭이 의미하는 바가 변한다. 지시물의 변화는 지시물 자체의 변화, 지시물에 대한 감정적 태도의 변화, 지시물에 대한 지식의 변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지시물 자체의 변화

ex)'돈', '차', '배' 등의 의미가 이전 시기와 다르게 인식되는 이유는 이들이 지시하는 지시물 자체가 변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기생'은 문과 예를 갖춘 예능인이었으나 지시물의 본성이 바뀌어 현재의 '기생'은 그저 '몸과 웃음을 파는 막된 여자'라는 부정적 의미로 이해된다. 

-지시물에 따른 감정적(주관적) 태도의 변화

지시물을 보는 태도는 시대상황, 관련된 정보, 개인의 경험 등에 따라 달라진다. 

ex) '미국인'은 미국으로부터 절대적 도움을 받는 시기에는 고마운 이웃이었으나, 현재는 선량한 이웃으로만 생각하지 않는다. 

-지시물에 대한 지식의 변화

지시물 자체는 그대로 있으나 과학과 인지의 발달로 지시물에 대한 규정이나 명칭이 새롭게 이해되는 것이다. 

ex) '달'은 신비로운 의미를 담고 있었으나 과학에 의해 달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며 '달'에 결부되었던 신비적 의미는 사라졌다.

 

2. 언어적 원인

언어의 내적 원인(단어의 형태나 구조, 문장 구조, 의미의 대립과 유연성 상실 등)으로 의미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형태론적

대화 행위의 경제성을 높임

ex) 담배꽁초에서 담배가 생략된 '꽁초'/ 나 나름대로, 아이들 나름대로에서 생략되어 '나름대로'

-통사론적

인접한 문장 구성 요소 사이의 영향 관계로 전염

ex) '엉터리'는 본래 기초, 근거의 긍정 의미였으나 '없다'와 결합하며 단어 자체가 부정 의미로 변화됨.

-의미론적

인접한 의미들 사이의 대립관계로 이해되는 유의성(유의 경쟁) 및 유연성 상실에 의한 의미의 재해석 절차인 의미적 유연화(민간 어원)

ex) '곱창'의 본래 의미인 지방분으로 이루어진 창자라는 의미는 힘을 잃고 형용사 '곱'을 끌여 들어 꾸불꾸불한 창자로 해석, 벼슬을 못하는 무반을 뜻하는  '한량'에서 [할량] '활'을 연상시켜 놀고먹는 건달로 재해석

 

3. 사회적 원인

사회적 성층에 의한 변화 & 사회적 구조에 의한 변화

-사회는 여러 성층의 다양한 사회로 구성된다. 소사회에서 대사회로 넘어가 사용되면 의미의 일반화가, 대사회에서 소사회로 넘어가면 의미의 특수화가 일어난다. 

ex) '군주'라는 의미로 쓰이던 '왕'이 일반 사회로 넘어와 '최고, 권력자' 등의 의미로 변화: 일반화

'어떤 일에 익숙한 사람'을 뜻하는 '고참'이 군대 사회로 차용되어 '상급 선임자'라는 의미로 사용됨: 특수화

-사회적 구조에 의한 의미 변화

변화된 사회 구조에 따라 의미가 재해석되는 것

ex)  '양반'은 원래 행정 기구의 이름이었으나 상류층을 나타내는 신분적 의미가 부가되었다. 

'장가들다' 는 장인의 집에 들어가는 서옥살이 풍습이었으나 현재는 '결혼하다'는 보편적 의미로 변화하였다.

 

4. 심리적원인

화자의 심리상태나 정신 구조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감정적 원인에 의한 의미변화

어떤 주제에 특별한 관심이나 흥미를 보일 때, 그 중심 주제가 핵이 되어 은유로 사용된다.

ex)'나일론'이라는 옷감이 저급의 옷감으로 전락하면서 '나일론(롱) 환자, 나일론 참외' 등의 엉터리나 덜된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금기에 의한 의미 변화

금기 행위나 명칭을 대신하는 완곡어가 이미 사용되던 말이라면 새로운 의미가 더해져 의미 변화가 일어난다. 공포의 대상에 대한 호칭 금기, 우아한 표현을 위한 금기, 예절적 표현을 위한 금기 세 방향에서 이뤄진다. 호랑이를 영감, 사또 등으로/ 죽음을 승천, 타계, 운명 등으로/ 본명 대신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