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성어란?
두 개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혼합된 뜻을 가지게 된 낱말을 말한다. 예로 스모그(smog; smoke+fog), 위키백과(위키+백과사전), 사이보그(cyborg; cybernetic+organism), 호캉스(호텔+바캉스), 유지어터, 크로플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지식백과
혼성은 두 단어에서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을 잘라내고 남은 부분들을 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과정이다. 절단과 합성이라는 두 가지 기제가 관여한다는 점에서 합성어와 구별된다.
* 혼성어 vs 절단형 단일어 (혼성어는 이미 있는 단어로부터 새 단어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단순 절단 현상과는 구별된다)
이미 있는 단어 안에서 일어나는 절단현상
국어 외래어 中 내비, 슈퍼, 멜로...
두음절어 전대협, 몰카, 돌싱 등
* 혼성어 vs 합성어 (혼성어는 새 단어 형성이라는 점에서 합성어와 같으나 절단이 작용한다는 점에서 합성어와 구별된다)
합성어는 두 단어의 형태가 유지되므로 결합된 단어의 원래 모습이 남아있고 (ex. 곱슬머리, 꽃밭)
혼성어는 절단 과정을 거쳐 결합하므로 원래 단어의 형태를 예측하기 힘들다 (ex. 레캉스, 에튜테인먼트, 라볶이)
혼성어의 특징?
1. 의미적 투명성이 낮다.
처음 들었을 때 의미를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
2. 두 단어의 의미의 합이 아니라 두 단어와 관련된 의미 속성을 동시에 갖는다.
ex. 브런치는 아침 겸 점심, boatel은 호텔 설비를 갖춘 배
혼성어의 유형? AB + CD
AB + CD -> AD ★대표 유형
레캉스, 개그운서, 에듀테인먼트, 에듀시터, 캐포츠, 다큐테인먼트, 액티즌
->후행 단어의 음절수와 동일한 음절수의 혼성어로 만들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AB + CD -> ABD
김치+할리우드=김치우드, 헬스+에어로빅=헬스로빅, 떡+햄버거=떡버거, 새우버거, 라이스버거
->후행 단어의 음절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버거' 결합형은 고유한 의미에서의 혼성어의 특성을 잃고 도시에 음절수 제약도 지키지 않는다.
AB + CD -> ACD
컴퓨터+도사=컴도사, 스폰서+매니저=스폰매니저, 브런치
AB + CD -> BD
아줌마+ 신데렐라=줌마렐라
혼성어에서 출발했으나 접사처럼 인식되는 예
모텔, 에어텔, 오피스텔, 휴게텔, 수면텔
쓰파라치, 성파라치, 노파라치, 짬짜미파라치, 서울시파라치
절단된 형태 D가 접사처럼 변화되는 경향
->이 유형은 선행 단어의 절단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전형적인 AD유형보다 의미의 추측이 쉽다.
최근의 혼성어
혼성어는 전통적으로 동의 관계에 있는 두 단어가 혼성되어 제 3의 동의어를 만드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등위적 혼성어가 많이 생성된다. 등위적 혼성은 의식적이고 적극적으로 형성되는데 새로운 지시 대상에 대해 기존의 단어를 이용하여 신어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새로운 개념 표현의 동기를 가지고 있다. 외래어에서 활발하게 나타나며 외래어, 고유어, 한자어 등 다른 어종이 결합한 혼성어도 출현하고 있다.
ex. 밥터디, 노티즌, 몰래바이트, 광클 -> 혼종의 혼성어 ㅋㅋ
'대학원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태론) 용언(동사, 형용사/ 본용언, 보조용언) (0) | 2021.10.05 |
---|---|
어휘론) 유의 관계: 위상적 유의어, 방언적 유의어, 문체적 유의어, 차용적 유의어 (0) | 2021.09.30 |
어휘론) 어휘 의미 변화의 결과 (0) | 2021.09.30 |
어휘론)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0) | 2021.09.30 |
국어교육학)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