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준비

어휘론) 유의 관계: 위상적 유의어, 방언적 유의어, 문체적 유의어, 차용적 유의어

미스서른 2021. 9. 30. 16:12

유의관계: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지니는 의미들이 상호 동질 관계에 놓일 때

 

위상적 유의어

서로 다른 사회계층이나 특정 부류에서 사용되며 유의 관계를 유지함

동일한 병명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맹장염-> 전문적으로는 충수염, 충양돌기염 등으로 쓰임

 

방언적 유의어 

서로 다른 방언권에 속하며 유의관계를 유지함

표준어 '싸리문'과 방언 '삽짝'-> [지역성]에서만 의미 차이를 보이므로 유의 관계를 논할 때 보통 제외함

 

문체적 유의어

문체적 양상(표현 격식성, 표현의 의미 가치, 표현의 언어적 성격)을 달리하지만 유의관계를 유지함

술(비격식)&약주(격식)/ 불구자(중립적 의미)&병신(부정적 의미)/ 죽다(구어체)&영면하다, 서거하다(문어체)

 

차용적 유의어

외래 요소가 새롭게 가세함으로써 유의관계를 이룸

가을걷이&추수/ 경기&게임 / 가락국수&우동/ 익살&해학&유머/ 짝&파트너

 

유의 관계의 검증

교체 검증법 & 대립 검증법 & 배열 검증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