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말소리는 소릿값을 갖고 있으나 환경에 따라 다른 소리로 모습을 바꾸기도 하고 완전히 다른 소리로 바뀔 수도 있다. 보통 통시적인 말소리 바뀜을 음운의 '변화', 공시적인 현상은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공시적 현상인 음운의 변동도 '이음변동'(한 음소가 자신이 가진 여러 변이음 중 하나로 실현되는 현상), '음운 변동'(하나의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어 실현되는 현상으로 나뉜다.
이음변동: 바다[pata]-> 바다[pada] -무성파열음 t가 유성 파열음 d로 바뀜
음운변동: 국민[kukmin]->궁민
음운변동을 분류하는 기준
ㄱ) 자음관련변동, 모음관련변동, 운소관련변동
ㄴ) 교체, 탈락(음소 삭제), 첨가, 축약(두 개의 소리가 하나로 줄어듬), 전위(말소리가 놓이는 순서가 바뀜)
ㄷ) 동화(한 소리의 소리값이 놓이는 환경과 같아지는 쪽으로 바뀜), 이화
ㄹ) 강화, 약화
음운 규칙: /기저형/으로부터 [표면형]이 도출되는 과정
예) 저 /흙만/ /넣고/ 나면 /좋은/ /밭이/ 된다. |
저 [흥만] [너코] 나면 [조:은] [바치] 된다. |
1. 자음군단순화+비음동화 2. 거센소리되기규칙 3. ㅎ탈락규칙 4. 구개음화규칙 |
/흙/-> [흙/ 흑/ 흥]
1) [흙] 흙에서[흘게서], 흙이[흘기], 흙은[흘근]-->모음 앞
2) [흑] 흙[흑] 흙과[흑꽈] 흙도[흑또], 흙빛[흑삗]--> 자음 앞, 단어 경계 앞
3) [흥] 흙만[흥만], 흙냄새[흥냄새], 흙넣고[흥너코]--> 비음 앞
교체
평파열음화
- 우리말에서 음절말 위치에 올 수 있는 자음은 ㄱ,ㄴ,ㄷ,ㄹ,ㅁ,ㅂ,ㅇ 7개뿐
- 이외의 것이 오면 이 일곱 자음 중 하나로 바뀌어 발음됨
- '음절 끝소리 규칙'
비음동화
- [ㄱ]: 국민[궁민] 낚는[낭는] 부엌문[부엉문] 닭만[당만]
- [ㄷ]: 걷는[건는] 꽃망울[꼰망울] 넣는[넌는]
- [ㅂ]: 값만[감만] 덮는[덤는] 밟는[밤는]
- 비음 앞에서 비음 아닌 장애음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 자음군 단순화를 겪은 후 도출된 ㄱ,ㄷ,ㅂ의 세 자음만이 비음동화의 대상이 된다.
- 동화에 의한 음운 교체 현상으로 분류되며, 피동화주가 앞에 있고 동화주가 뒤에 있으므로 역행동화이고, 구강 장애음이 뒤따르는 비음의 조음 방식에 동화되는 조음방법동화이다.
- '비음화' (유음화와 묶어 자음 동화로 지도함)
유음화
- ㄹ+ㄴ->[ㄹㄹ] : 달님[달림], 발냄새[발램새], 물난리[물랄리], 칼날[칼랄] -> 순행적유음화
- ㄴ+ㄹ->[ㄹㄹ]: 관련[괄련], 권력[궐력], 신라[실라], 대관령[대괄령] -> 역행적유음화
- ㄴ+ㄹ->[ㄴㄴ]: 결단력[결딴녁], 공신력[공신녁]
-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 순행적유음화와 역행적유음화를 구분하지 않고 자음동화의 일종으로 다룸
ㄹ의 비음화
- ㄹ+ㄴ
구개음화
- ㄹ+ㄴ
된소리되기
- ㄹ+ㄴ
조음위치 동화
- ㄹ+ㄴ
ㅣ모음 역행동화
- ㄹ+ㄴ
'대학원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태론) 용언(동사, 형용사/ 본용언, 보조용언) (0) | 2021.10.05 |
---|---|
어휘론) 유의 관계: 위상적 유의어, 방언적 유의어, 문체적 유의어, 차용적 유의어 (0) | 2021.09.30 |
어휘론) 단어형성법 中 혼성어 개념과 유형 분석, 특성 설명 (0) | 2021.09.30 |
어휘론) 어휘 의미 변화의 결과 (0) | 2021.09.30 |
어휘론) 의미 변화의 원인 4가지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