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준비

국어교육학)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미스서른 2021. 9. 29. 15:50
최근 기출문제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점 내용 & 한 학기 한 권 읽기 특징과 지도 시 고려할 점

매체문학교육의 의의& 제재 선정의 기준을 제시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그림책 한 권을 예로 들어 글과 그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림책의 특성을 기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특징 6가지
1.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체제 변화
2. 내용 체계표의 상세화
3. 국어 교과 역량 강조
4. 유치원 누리과정과의 연계와 한글 교육 강화
5. 한  학기 한 권 읽기 강조
6. 체험중심의 연극교육
1.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성격'항 신설

성격: 국어과는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기르고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며 바람직한 인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과목

'국어' 학습을 통해 6가지 역량을 기를 수 있다. 

국어의 하위 영역은 듣말,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이다. 영역에 대한 지식, 수행에 필요한 기능, 태도를 기름으로써 국어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2. 하위 영역 별로(듣말 읽기 쓰기 문법 문학) 내용 체계표 상세화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

핵심 개념: 국어 교과의 기초 개념이나 원리(ex. 쓰기의 본질, 목적에 따른 글의 유형, 쓰기의 구성 요소, 쓰기의 태도)

 

3. 국어 교과 역량 강조 ->비자의대문자

비판적 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 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 계발 역량

 

4. 입문기 문자 교육 강화

기초문식성 교육 내용 "한글 자모를 정확하게 알거나 글자의 자임이나 구성관례를 이해하는"

 

5. 초 3~고등학교 매 학기 한 권 교과서 밖의 책 읽기 강조 

목적: 책 읽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지도하여 독서 생활의 기초를 마련하고 평생 독자를 기름

 

6. 인문학적 소양 + 창의융합형 인재: 연극 도입

실제 극본 구성 후 극화 활동에 참여